본문 바로가기
주변 바라보기

원숭이두창 원인과 전염성 전용 백신은 있나?

by 오바로 2022. 5. 25.
반응형

코로나19의 충격이 아직 가시지도 않고 아직까지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중 원숭이 두창에 대한 기사를 접하였고 우리와는 멀게 느껴지지만 원숭이 두창 원인과 전염성, 백신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원숭이 두창의 원인과 전염성 그리고 백신의 여부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원숭이 두창이란 무엇인가?

 

 

1958년 덴마크의 연구실에서 사육되던 필리핀 원숭이에게서 최초로 발견되어 당시 천연두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 원숭이 두창이라는 명이 붙게 되었고 영문으로는 " Monkeypox "로 사람에게 첫 감염의 발견은 1970년 콩고에서 발견되었고 이후 인근 지역 감염으로 현재는 서부, 중부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이 된 상태입니다. 원숭이 두창의 발병이 아프리카 위주로 발생을 했지만 최근 아프리카 지역이 아닌 유럽과 북미에서 환자가 발생하면서 혹여나 국내로의 유입에 대한 염려가 생기며 이슈가 됩니다. 

 

원숭이 두창 증상과 전염, 전파 그리고 치사율

 

증상은 코로나 19나 독감의 증상과 유사한 발열, 두통, 근육통, 오한 등의 증상과 림프샘이 비대해지고 얼굴을 중심으로 발진 증상이 나타나며 발진은 몸의 다른 부위로 확산됩니다. 특히 손에 발생되는 수포성 발진은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잠복기는 6일에서 13일 정도로 발현된 증상은 2~4주 간 지속됩니다. 원숭이 두창의 전파는 설치류를 통해 전파가 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사람과의 감염은 흔하지 않고 병변과 체액, 호흡기 비말, 침구 등 오렴 된 물질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가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숭이 두창이 발현하면 자연적으로 회복이 되지만 의료 환경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에서 발현이 되면 치사율은 최대 10% 까지 이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WHO(세계 보건기구)에 따르면 치사율은 3~6% 정도의 수준이라고 합니다.

 

원숭이 두창 발생상황

 

아프리카의 풍토병인 원숭이 두창의 국내 유입 가능성은 희박했으나 아프리카 외의 나라에 전파가 되면서 국내로의 유입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라 예의 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프리카를 제외하고 다른 국가에서의 원숭이 두창 발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식백과

원숭이 두창 백신의 여부? 진단 및 치료는?

 

원숭이 두창의 전용 치료제는 없습니다만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해 치료를 하고 있고 천연두에 쓰인 백신이 원숭이 두창에도 약 85%의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원숭이 두창의 진단은 항원검사, PCR(유전자 검출검사), 바이러스 배양등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국 질병관리청은 2022년 05월 22일 "원숭이 두창 진단 검사법 및 시약" 개발과 평가를 2016년에 이미 완료했고 원숭이 두창의 국내 유입 시 환자를 신속하게 감별하여 전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의료시설은 거의 완벽하다시피 되어 있으니 만약 발병한다면 효과적으로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원숭이 두창의 전파 가능성 중 성접촉으로 인한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를 편파적으로 보는 시선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국내 발견은 없지만 일상생활에서 마스크 착용이 도움이 될 것 같은 생각입니다. 방역당국이 해외 입국자에 대한 감시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하고 아직까지 입국자의 검역조치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으니 천천히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